Server

라즈베리파이 4로 우분투 서버 만들기 - 2(완)

DungDung.dev 2024. 9. 11. 00:51

https://dungdung-developer.tistory.com/14

 

라즈베리파이 4로 우분투 서버 만들기 - 1

안녕하세요. 개인 AWS를 회사 계정처럼 쓰다 비용이 청구되어 개인 서버 제작을 결심한 개발자입니다.개인적으로 AWS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비용인 것 같습니다.    우선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

dungdung-developer.tistory.com

 

 저번 게이글에 이어서 raspberry pi imager를 통해 sd카드에 우분투를 설치하고 설정 커스터마이징을 해보겠습니다.

 

 

마이크로 SD카드에 우분투 설치

 준비한 마이크로 SD카드를 SD카드 리더기에 꽂은 후 본인의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인식이 제대로 되었다면 다른 작업은 하지 않고 라즈베리파이 OS 공식 사이트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줍니다.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제 개인 pc 운영체재는 Windows이기 때문에 Windows를 선택해서 Install을 완료하면 아래와같이 imager가 실행됩니다.

 

Respberry Pi Imager v1.8.5

 

장치 선택

  • Respberry Pi 4를 선택합니다.

 

운영체제

  • Other General-purpose OS를 선택합니다.

  • Ubuntu를 선택합니다.

  • Ubuntu Server 24.04.1 LTS (64-bit)를 선택합니다.

 Ubuntu Server 24.04.1 LTS (64-bit)를 설치하는 이유는 CLI 환경으로 사용하며 버전 24.04.1이 현재 지원되는 가장 최신 버전이고, LTS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GUI환경(일반 윈도우 컴퓨터와 같은)을 원하신다면 Desktop버전으로 설치해주세요.

 

 

저장소선택

  • 장착한 SD카드를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OS 커스터마이징

자신의 설정에 맞춰서 커스터마이징을 하면 됩니다.

  • hostname 설정 
    •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이름입니다. raspberrypi.local 도메인으로 로컬 네트워크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른 특별한 hostname이 없을까 고민하다 기본값인 raspberrypi으로 설정했습니다.
    • 추후 라즈베리파이의 설정을 완료하고 설정한 서버에서  ping raspberrypi.local  을 입력하면 아래와같이 실행됩니다.

ping raspberrypi.local

  •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
    • 서버에서 사용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추후 비밀번호 인증에 사용할거니 꼭 기록해두세요.
  • 무선 LAN 설정
    • wifi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설정입니다. SSID(네트워크 이름)을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wifi에 연결됩니다. 저는 이더넷으로 연결하여 설정하지 않겠습니다.
  • 로케일 설정 지정
    • 서버의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표준시간인 UTC로 설정하였습니다.
    • 키보드 레이아웃은 us로 하겠습니다. us는 qwert로 시작되는 키보드 배열입니다.
  • SSH 사용
    • SSH 를 활성화시킵니다.
    • 비밀번호 인증 사용은 보안 수준은 낮지만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추후 추가로 ssh 설정을 변경하면서 공개 키 기반 인증으로 수정하겠습니다. 

 

저장을 누르고 예를 선택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에 시간이 좀 소요됩니다.

 

 

 

부팅

SD카드 장착

 설치 완료 후 SD카드 리더기를 분리 후 라즈베리파이에 장착합니다.

SD카드가 손상되지 않게 방향에 주의해서 장착해야합니다. 저는 예전에 SD카드 한 개를 보냈습니다.

 

 

기타 장치 장착

 모니터, 키보드, 랜선, 전원 순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해주세요. 전원을 꽂으면 바로 전원이 켜지기때문에 전원은 가장 마지막에 연결해주세요.

 

 

기타 설정 후 원격 접속

사용자 로그인

 부팅이 완료되면 SSH 호스트 키를 보여주며  ubuntu login 을 하라고 나옵니다. 아까 커스터마이징에서 설정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기타 우분투 설정

  • root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
    •  sudo su – root   를 입력하여 root계정으로 체크아웃 합니다.
    •  passwd  를 입력하면 new password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retype까지 입력해주면 successfully라고 안내해줍니다.
  • apt update
    • root계정으로  apt update 을 입력합니다.
  • 원격 접속을 위해 openssh-server를 설치
    •  apt -y install openssh-server 를 입력하여 OpenSSH 서버를 설치합니다. (-y는 Yes입력을 스킵시켜줍니다.)
    •  systemctl  start ssh 를 입력하여 SSH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systemctl  enable ssh 를 입력합니다. 이 명령어는 시스템이 부팅 시 SSH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합니다.
    •  systemctl status ssh 를 입력하여 서비스 상태를 확인합니다. 아래와같이  Active: active(running) 이 출력되면 성공입니다.

 

  • 원격 접속을 위해 22번 포트 허용
    •  ufw allow 22/tcp 를 입력하여 SSH 접속을 위한 포트 22번을 열어줍니다. 성공하면 Rules Updated 되었다고 나옵니다.
    •  ufw status 를 입력하면 Status: inactive 이 출력됩니다.
  • ip주소 확인하기
    •  apt install net-tools  을 입력하여 ip를 확인하기 위한 패키지를 설치해줍니다.
    •  ifconfig  을 입력하고 본인의 ip를 확인합니다. 출력된 결과 중 eth0 또는 wifi를 사용할 경우 wlan0을 찾고 해당 라인의 inet항목이 해당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주소입니다.
    • 만약 외부에서 접속하거나 다른 네트쿼에 있는 경우 public ip를 확인해야합니다. 추가 설정은 다른 게시글에 작성하겠습니다.
  • 다른 컴퓨터에서 SSH 접속하기
    • 저는 powershell에서 ssh 를 통해 접속했습니다.  ssh 유저이름@확인한IP   를 입력해주고 (첫 접속이라면 yes입력)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접속이 완료됩니다.

  • 접속을 종료하고 싶다면  exit  명령어 또는 Ctrl + D를 입력하면 로그아웃됩니다.

 

운영체제 설치, OS 커스터마이징, 부팅, 원격접속까지 정리해봤습니다. 개인 서버가 생겨 기쁘네요. 해당 서버에 nginx, node.js 등을 설치하고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을 또다른 게시글로 담아봐야겠습니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4로 우분투 서버 만들기 - 1  (0)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