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

HTTP 완벽 가이드 - 북 리딩 스터디 02

4장 커넥션 관리는 TCP/IP와 관련된 내용이다. 커넥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연 상황과 해결방법, 한계 등을 설명한다. 1주차 진행 내용더보기1. HTTP: 웹의 기초04. 커넥션 관리 TCP 커넥션 TCP/IP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의 계층화된 집합으로 메시지를 안전하고 순서대로 전달하는 것을 보장한다. HTTP 커넥션은 몇몇 사용 규칙을 제외하고 TCP 커넥션에 불과하다.   TCP는 IP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TCP는 세그먼트라는 단위로 데이터 스크림을 잘게 나누고, 세그먼트를 IP 패킷에 담아 데이터를 전달) HTTP는 프로토콜 스택에서 최상위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HTTP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현재 연결되어 있는 TCP 커넥션을 통해서 메시지 데이터의 내용을 순서대로..

카테고리 없음 2025.03.16

우분투 서버 설정 (포트포워드, ip고정, nginx 리버스 프록시, mkcert 인증서 발급)

사이드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ubuntu에 서버를 세팅하는 과정입니다. 홈 네트워크 구성맥보뎀(다산 H660N) - 브릿지모드공유기(GW-ME6110) - NAT 모드와이파이데스크탑 (인터넷선)라즈베리파이 (인터넷선) 라즈베리 파이의 ip 확인ssh 설정이 되어있으면 ssh로 접속, 안 되어있다면 직접 입출력장치를 연결해서 접속합니다.편의 도구를 설치합니다.sudo ap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 net-tools curl wget gitifconfig로 내부 ip를 확인합니다. inet 192.168.45.154모뎀에 접속해서 브릿지 모드로 변경합니다.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고 비밀번호를 열심히 확인합니다. (https://dany-it.tistory.com/403) ..

카테고리 없음 2025.03.09

HTTP 완벽 가이드 - 북 리딩 스터디 01

개발 4년 차에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다시 기본 지식을 되짚어볼 필요성이 느껴졌기 때문에 책 읽기 스터디를 구성했다.스터디는 인원은 2명으로 각자 정한 책을 1주일 동안 일정 부분 읽고 상대방에게 설명하면, 상대방은 그 부분을 읽어오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두 가지 책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읽을 수 있을 거라고 예상한다. 기간은 6주에서 8주이다.  내가 정한 책은 HTTP 완벽 가이드이다. API 서버, 인프라 등을 작업하는 개발자로서 이 책을 선택했다.  1주차 진행 내용더보기1. HTTP: 웹의 기초01. HTTP 개관02. URL과 리소스03. HTTP 메시지 HTTP (Hypertext Transfer Profocol) 간단 설명HTT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한다.(전송 중 손..

독서록 2025.03.05

aws unbuntu 인스턴스에 codeDeploy 에이전트 설치

[관련 링크]https://docs.aws.amazon.com/ko_kr/codedeploy/latest/userguide/codedeploy-agent-operations-verify.html https://docs.aws.amazon.com/ko_kr/codedeploy/latest/userguide/codedeploy-agent-operations-install-ubuntu.html CodeDeploy 에이전트가 실행 중인지 확인 - AWS CodeDeploy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docs.aws.amazon.com  Ubuntu Server용 CodeDeploy..

AWS 2024.12.10

라즈베리파이 4로 우분투 서버 만들기 - 2(완)

https://dungdung-developer.tistory.com/14 라즈베리파이 4로 우분투 서버 만들기 - 1안녕하세요. 개인 AWS를 회사 계정처럼 쓰다 비용이 청구되어 개인 서버 제작을 결심한 개발자입니다.개인적으로 AWS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비용인 것 같습니다.    우선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dungdung-developer.tistory.com  저번 게이글에 이어서 raspberry pi imager를 통해 sd카드에 우분투를 설치하고 설정 커스터마이징을 해보겠습니다.  마이크로 SD카드에 우분투 설치 준비한 마이크로 SD카드를 SD카드 리더기에 꽂은 후 본인의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인식이 제대로 되었다면 다른 작업은 하지 않고 라즈베리파이 OS 공식 사이트에서 이미지를..

Server 2024.09.11

라즈베리파이 4로 우분투 서버 만들기 - 1

안녕하세요. 개인 AWS를 회사 계정처럼 쓰다 비용이 청구되어 개인 서버 제작을 결심한 개발자입니다.개인적으로 AWS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비용인 것 같습니다.    우선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는 일반 데스크탑 pd와 기능이 비슷한 작은 싱글 보드 컴퓨터입니다. (참고로 ARCUINO는 Micro Controller로 Micro Computer인 RaspberryPi와 다른 용도입니다. RaspberryPi는 카메라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크기는 손바닥의 절단정도 크기로 대부분 연구개발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OS가 없는 상태로 직접 원하는 OS를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라즈베리 파이의 역사에 대해서는 이 게시글이 재밌습니다. 개인적으로 pi가 파이썬인게 가장 충격적이었습니..

Server 2024.09.10

[Docker] ELK 스택을 Docker로 실행하기 - 2

https://dungdung-developer.tistory.com/10 [Docker] ELK 스택을 Docker로 실행하기 - 1제가 실무에서 ELK를 실행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기에 게시글로 준비해 봤습니다. 한 번 이해하고 설정해 놓으면 복잡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쉽게 로그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실행해dungdung-developer.tistory.com  전 게시글에서는 프로젝트의 폴더와 필요한 파일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직접 elasticsearch/kibana/logstash의 설정파일을 작성하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제가 참고한 github 링크입니다.https://github.com/elastic/elasticsearch/blob/main/distribution/..

Docker 2024.02.04

[Docker] ELK 스택을 Docker로 실행하기 - 1

제가 실무에서 ELK를 실행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기에 게시글로 준비해 봤습니다. 한 번 이해하고 설정해 놓으면 복잡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쉽게 로그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실행해 보시길 추천하겠습니다. 해당 게시글은 처음에 ELK Stack의 쓰임새를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Logstash와 Elasticesearch, Kibana의 이미지를 받고 실행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 ELK Stack의 이해 ]  ELK Stack은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를 묶어서 부르는 말입니다. 이 세 가지 오픈 소스들은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데 주로 어플리케이션에서 나온 로그들을 취합하여 웹으로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ELK Stack에..

Docker 2023.12.13

[Windows Service] Console.exe Windows Service 등록

과거 C# .NET 6.0으로 제작한 콘솔을 Windosw Service에 올리는 과정을 게시글로 담아봤습니다. 환경 : Windows 11발생 오류 : windows service error 1053해결 방안 :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서비스 등록 및 실행  1. Console 프로그램을 Release 모드로 게시 후 dll을 포함한 게시 파일을 원하는 경로에 백업합니다.  2. console windows service helper.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 해제합니다. srvany.exe(서비스 관리자와의 통신/제어 처리를 하여 응용프로그램을 서비스로 실행 가능하게 함) instsrv.exe(서비스 등록(설치)/삭제)  3. srvany.exe는 콘솔 실행 파일과 같은 폴더에 위치,..

Server/Windows 2023.12.11